논문 상세보기

액체전이법을 이용한 정밀여과막 오염의 특성 평가 KCI 등재

Determination of Microfiltration Membrane Fouling Characteristics by Liquid Displacement Meth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3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공칭크기가 0.2μm인 polytetrfluroethylene(PTFE Satorius사) 정밀여과막에 0.1wt% kaolin benotonite yeast 및 starch 용액을 각각 투과시키고 막을 세척한 후 순수/이소부탄올을 이용한 액체전이법으로 막의 세공분포를 추정하였다 액체전이법으로 추정한 오염되지 않은 PTFE 분리막의 세공분포는 수은침투법 및 전자 현미경 사진의 분포와도 유사하였다 PTFE 막의 세공크기보다 작은 입자가 존재하는 bentonite 및 starch 용액을 투과시킬 경우 분리막 세공이 상당히 오염되어 세공분포가 약 0.3μm이하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kaolin 용액의 경우에는 0.35μm 이상의 세공일부만이 부분적으로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액체전이법을 이용한 분리막의 세공분포 측정으로 막오염 현상을 보다 정량적으로 구명할수있었다.

The nominal pore size 0.2 μm polytetrafluroethylene(PTFE, Satorius Co,) membrane was used for the filtration of 0.1 wt% kaolin, bentonite, yeast, and starch solution, respectively. After filtration, the membrane was cleaned and the pore size was measured by liquid displacement method(LDMl using water/iso-butanol system. The pore size for new PTFE membrane evaluated by LDM was comparable with those of which were measured by mercury porosimetr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membrane pores were severely fouled, and constricted to below 0.3 μm in the cases of bentonite and starch solution which contained smaller particles than pores. However, in the case of kaolin - solution, only some parts of membrane pores above 0.35 μm were slightly fouled. Hence, the phenomena of membrane fouling could be identified quantitatively by the evaluation of pore size using LDM.

저자
  • 장규만(서울산업대학교 화학공학과) | Kyu Man Chang
  • 정건용(서울산업대학교 화학공학과) | Kun Yong Chung
  • 서성조(서울산업대학교 화학공학과) | Seong Jo S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