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형 비행기 조종사의 착륙 조작 시의 높이지각 KCI 등재

Height perception of large airplane pilots during landing fla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5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대형 비행기 조종사들은 지상으로부터 높은 조종실의 위치, 빠른 접근속도와 수직강하속도로 인하여 불충분한 시각정보를 바탕으로 착륙 조작을 하여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형 비행기의 특징으로 인하여 비행기 착륙의 최종 조작인 당김(flare) 조작을 할 때 대형 비행기 조종사들이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조종석 외부로 보이는 공항에 대한 사진을 제시하고 높이 추정을 하도록 하여 정적 시각 단서만으로 정확한 높이지각이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85feet의 고도에서는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나 당김 조작을 준비해야 하는 높이인 55feet부터 낮은 고도에서는 정확한 높이를 추정하지 못하였다. 연구 2에서는 착륙의 전 과정을 녹화한 화면을 보여주어 높이 추정을 하도록 하여 동적 시각 단서와 정적 시각 단서를 모두 제공하여 주었다. 시각단서가 연구 1보다 풍부하였으므로 50feet까지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였으나 연구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당김 조작을 시작하는 높이인 30feet 이하의 저고도에서의 높이지각이 모두 부정확하였다. 시각 단서의 해석에 경험이 중요한 요인이므로 경험이 많은 기장과 경험이 적은 부기장 간의 높이 추정에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 1과 연구 2에서 모두 비교하여 보았으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Pilots of large airplanes have to land their airplanes with insufficient visual information because of high approach speed, high vertical velocity and high location or altitude of the cockpits from the runway intending to touch down. This study verifies that, due to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large airplane pilots can't exactly perceive height of their airplanes during the flare. Study 1 explored whether it's possible for the pilots to accurately perceive height with the static visual cues only. We showed them pictures of the runway taken from the pilot's pionts of view and asked them to assess the height of the airplanes. They determined exact height of the airplanes at the height of 85 feet, but they could not, at lower than 55 feet which is the flare preparation altitude. Study 2 explored whether it's possible for the pilots to accurately perceive height when dynamic cues were added to the static visual cues. We showed them videos of the runway taken from the pilot's pionts of view. With more cues they determined exact height of the airplanes at the height of 50 feet, but they could not, at the altitude of lower than 30 feet which is the flare altitude. As experience is believed to be a major factor which affects interpretation of the visual cues, we compared the accuracy of the assessment of the experienced captions and that of the in-experienced first officers. We fou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저자
  • 김용석 | Kim, Yong-Seok
  • 손영우 | Sohn, Young-Woo
  • 박수애 | Park, Soo-Ae
  • 김칠영 | Kim, Chil-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