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감성 컴퓨팅 기술 동향 분석 KCI 등재

Trend Analysis of Affective Computing Technology for Diagnosis and Therapy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6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자폐스펙트럼장애는 91명당 1명이 문제를 보인다고 보고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암 발생률보다도 높은 수준이지만, 국내에서는 제대로 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사회적으로 심각한 복지 사각지대에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경우 자신의 정서 상태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여 기존의 치료 및 교육 방법에 제약이 많기 때문에, 장애 아동의 정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치료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신호 감지를 통한 정서 상태 인지 기술 및 가상 감성 에이전트(agent) 모델링 기술을 포함한 감성 컴퓨팅 기술에 대하여 기술 동향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새로운 자폐스펙 트럼장애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시스템 구성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뇌파 등의 생체신호로 부터 자폐아동의 정서 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생체신호 감지 모듈, 가상현실 환경에서 자폐아동이 감성 에이전트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면서 다양한 진단 및 치료 시나리오를 수행하기 위한 가상 감성 에이전트 환경 모듈, 역감 교류(haptic interface)장치를 이용하여 자폐아동의 행동 입력이 가능하게 하고, 힘 반력을 자폐아동에게 전달해 주기 위한 역감 교류 모듈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생활 속에서 지속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known that as many as 1 in 91 children are diagnosed with an autistic spectrum disorder, and the incidence rate of the autistic spectrum disorder is much higher than that of cancer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ovel technology to sense their emotional status and give proper psychological diagnosis and therapy, since the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usually do not express their own emotional status. This article presents the state-of-the-arts on the affective computing technologies that include recognition of emotional status through bio-sensing and virtual affective agent modeling, and then proposes a novel system architecture for diagnosis and therapy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 The diagnosis and therapy system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 is composed of bio-sensing module, virtual environment module with affective agents, and haptic interface module. The architecture proposed in this paper will enhance the objectivity to diagnose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enable continuous treatment in daily life.

저자
  • 윤현중(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자동차공학부 메카트로닉스전공) | Yoon, Hyun-Joong
  • 정성엽(충주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 Chung, Seong-Youb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