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성 얼굴의 측정치를 통한 20대와 60대의 비교 분석 KCI 등재

Comparison and Analysis of Women Faces in 20s' and Women Faces in 60s Through Women faces's Measured valu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6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이 논문에서는 20대와 60대를 얼굴의 측정치와 시각적 분석을 통해 얼굴의 비율과 불균형을 분석하였다. 얼굴폭과 얼굴길이의 비율이 20대는 1 : 1.34, 60대는 1 : 1.39로 나타나 60대 여성의 얼굴길이가 길며, 상안 부길이, 중안부길이, 하안부길이의 비율에서 20대는 0.85 : 1 : 1로 중안부길이와 하안부의 길이가 같은 반면, 60대는 0.84 : 1 : 1.06으로 하안부길이가 길고 상안부길이가 짧다. 얼굴의 균형감은 2˚이상의 심한 불균형인 경우 눈초리각도가 20대에서 8%, 60대에서 13%, 코각도가 20대에서 11%, 60대에서 29%, 구각각도에서 20대가11%, 60대에서 40%로 나타나, 60대의 불균형이 심각하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20대에 비해 60대의 얼굴이 전체적으로 길며, 그중에서도 하안부가 길게 나타난 것은 노화로 인해 얼굴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얼굴의 불균형이 20대에 비해 60대에서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proportion and disproportion of faces through visual analysis and measured value for women faces in 20s and 60s.. The proportion of bizygion breadth and face height is 1 : 1.34 in 20s and 1 : 1.39 in 60s which shows face height is ling in 60s, and 0.85 : 1 : 1 for upper face length, middle face length and lower face length in 20s which shows the proportion of upper face length and lower face length are long while they are 0.84 : 1 : 1.06 in 60s which shows lower face length is long and upper face length is short. If the proportion of the face is more than 2˚ which is severe imbalance, angle of eyes is 8% in 20s, 13% in 60s, and angle of nasal is 11% in 20s, 29% in 60s, angle of mouse is 11% in 20s and 40% in 60s, showing imbalance of 60s is severe. As above, It shows that face height is longer in 60s than in 20s and lower face is long among others because face's change due to aging. Also, We able to know that face's imbalance is severer in 60s than in 20s.

저자
  • 김애경(부산대학교 의류학과) | Kim, Ae-Kyung 교신저자
  • 이경희(부산대학교 노인 생활 환경 연구소) | Lee, Kyung-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