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통증, 침술 및 뇌영상 KCI 등재

Pain, Acupuncture and Brain Imag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6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통증은 매우 복합적이고 다양한 수준의 경험으로 주관적이거나 객관적일 수 있다. 침술은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아주 오래된 방법이며, 경락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침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결과들은 수없이 많이 있지만, 그 기능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는 부족한 상태이다. 또한, 실생활에서의 통증 유발 원인과 침술을 통한 통증 억제 또는 치료는 그 차이가 매우 크게 느껴진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을 통해 통증과 침술의 관련성이 밝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급격히 발달하고 있는 뇌영상 기술들(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s, 및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electroencephalograph, magnetoencephalography)을 간략히 살펴보고, 이들을 이용한 통증 및 침술 연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통증과 침술에 관여하는 뇌 영역들을 확인하여, 이 둘의 유사성 및 차이를 비교하고, 뇌영상 기술을 통해 밝혀지는 뇌의 정보처리 과정을 통해 통증과 침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Pain is very complex and multi-level experience that should be objective or subjective. Acupuncture is a traditional method to heal the pain and have been based on meridian theory. There have been many clinical evidences showing the pain-relieving effect of acupuncture but science-based understanding of it was poor. Furthermore in daily life, we feel huge gap between the source of pain and pain control by acupuncture stimulation. However, the underlying connection between pain control and acupuncture stimulation has been reported in many recent reports. In this paper, we briefly introduce the brain imaging techniques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s,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electroencephalograph, and magnetoencephalography) and review researches in pain and acupuncture. Through this, the brain areas that activated by pain and acupuncture will be verified, and compared each other regarding their specificity and similarity. In addition, detailed understanding of brain function which is related to pain and acupuncture analgesia through brain imaging techniques will be discussed.

저자
  • 곽용호(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Kwak, Yong-Ho
  • 원란(동서대학교 보건의학계열 임상병리학과) | Won, Ran
  • 이혜정(경희대학교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 Lee, Hye-Jung
  • 이배환(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Lee, Bae-Hwa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