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알칼리 수전해용 격막으로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음이온교환막의 제조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y on the Preparation of Polyvinyl Chloride Anion Exchange Membrane as a Separator in the Alkaline Water Electro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4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알칼리 수전해용 격막으로 사용하기 위해 음이온교환막을 제작하였다. 음이온교환막은 PVC (polyvinyl chloride)를 출발물질로 하여 클로로메틸화 및 아민화에 의해 제작하였다. 제작한 막은 막 특성(막 저항, 이온교환용량)을 평가하였다.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1M NaOH수용액에서의 최저 막 저항은 2.9 Ω·cm2를 나타냈다. 이 막은 2.17 meq./g-dry-membrane의 이온교환용량과 43.4%의 함수율을 보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막 특성을 시판의 막 특성과 비교 평가하였다. 1M NaOH수용액에서의 막 저항은 AHT>IOMAC>Homemade membrane>AHA>APS=AFN의 순으로 저항 값이 높았다. 이온교환용량은 Homemade membrane>AFN>APS>AHT>AHA>IOMAC의 순으로 높은 값을 가졌다.

An anion exchange membrane was prepared for a separator in the alkaline water electrolysis. An anion ex-change membrane was prepared by the chloromethylation and amination of polyvinyl chloride (PVC) used as a base polymer. The membrane properties of the prepared anion exchange membrane such as the membrane resistance and ion ex-change capacity were measured. The minimum membrane resistance of the prepared anion exchange membrane was 2.9 Ω·cm2in 1M NaOH aq. solution. This membrane had 2.17 meq./g-dry-membrane and 43.4% for the ion exchange capacity and wa-ter content, respectively. The membrane properties of the prepared anion exchange membran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mmercial anion exchange membrane. The membrane resistance decreased in the order; AHT>IOMAC> Homemade mem-brane>AHA>APS=AFN. The ion exchange capacity decreased in the order; Homemade membrane>AFN>APS>AHT> AHA>IOMAC.

저자
  • 박종호(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 JongHo Park
  • 봉수연(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 SooYeon Bong
  • 유철휘(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 CheolHwi Ryu
  • 황갑진(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 GabJin Hw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