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느타리버섯 생육온도와 자실체의 발생과 생장 KCI 등재

Initiation and growth of fruitbody of oyster mushroom as affected by cultivation tempera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59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느타리버섯 병재배에서 온도처리에 따른 품종간의 차이와 생리적 특성을 확인하기위하여 온도에 따른 시험을 수행한 결과 느타리버섯의 품종에 따라 온도처리별 발이 및 수량성에서 각기 다른 반응을 보였다. 특히 원형3호는 16.5℃이상에서는 발이하지 않았으나 13℃에서 발이 후 모든 온도처리에서 생장하였다. 고온성인 삼복느타리버섯은 10℃에서는 발이 후 생장을 못하고 고사하였으며, 13℃에서 발이시킨 후 10, 25℃의 온도로 변온처리에서는 정상적으로 생장하지 못하였고, 수량도 얻지 못하였다. 자실체 색깔은 고온에서는 백색에 가깝게 변하며, 저온의 경우 회색계열의 품종은 흑색에 가까운 색으로 갈색계열의 버섯은 진한 갈색으로 변하였다. 발이 특성은 저온에서는 균일하고 양호하였으나 온도가 높아지면서 불균일하고 배지표면에서 부분적 발이현상으로 인하여 수량성과 품질이 낮았다. 13℃에서 생장한 흑색의 버섯을 23℃로 이동하여 갓 색이 백색인 버섯을 다시 10℃ 변온처리를 하면 흑회색으로 변화하였다. 이런 온도에 따른 자실체의 색의 변화에 의해 느타리버섯의 갓 색은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ottle cultivation was conducted to clarify varietal difference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Mushroom pinheading and yield in each temperature show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strains. Specially, Weonhyeong3-ho could not sprout over 16.5℃ , but after pinheading at 13℃, its fruitbody was able to grow normally at all tested temperatures. Sambok, a high temperature strain, sprouted at 10℃ and then withered up. Fruitbody of this strain obtained at 13℃ could not grow normally at 10℃ and 25℃ conditions. Colour of fruitbodies turned close to white at high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at low temperature, strains with gray fruitbody changed close to black and those with brown fruitbody turned to dark brown. With regards to fruiting trait, pinheading aspects were good even at low temperature. Those were, however, uneven and sprouted in patches and resulted in low quality and productivity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When black fruitbody at 13℃ were moved to 23℃ and then to 13℃ again, colour of fruitbody turned to white and then recovered to blackish gray.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colour of fruitbody responds to cultivation temperature.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공시균주
  생육온도처리
 결과 및 고찰
 적요
 참고문헌
저자
  • 전창성(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 | Chang-Sung Jhune
  • 공원식(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 | 공원식
  • 유영복(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 | 유영복
  • 장갑열(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 | 장갑열
  • 백수봉( 건국대학교 생명환경대학 식물자원학과) | 백수봉
  • 천세철( 건국대학교 생명환경대학 식물자원학과) | 천세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