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DNA의 ITS 부위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구름버섯 균주의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 KCI 등재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genera Trametes on the basis of ITS region sequen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4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보존중인 구름버섯속 균주를 선발하여 배양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슷한 균주별로 그룹화하여 rDNA의 ITS 영역을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보존시 균주의 학명과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균사의 모양 및 색깔에도 많은 차이를 보였다.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보존 당시 동정된 결과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종이 다른 균주가 5균주와 학명이 다른 균주가 6균주로 전체의 61%를 차지하였다. 국내에서 수집한 구름버섯의 경우 T. versicolor, T. elegans, T. gibbosa 등 3개 속으로만 동정되었고, 미국에서 수집한 균주는 T. junipericola로 동정되었다. Trametes spp의 RAPD 분석을 통한 유전적인 다형성 조사에서 T. versicolor와 T. gibbosa는 아주 다른 밴드 패턴을 보였다. 또한 같은 종내에서서 분포지역에 따라 상이한 밴드 패턴을 보였다.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에서는 T. vericolor 등 4개의 분류군으로 나누어졌으며, ITS부위 유전자수준의 상동성 비교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 목록과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된 균주들에 대해서는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분석과 보존중인 자실체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비교하여 보존진균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여 기존 목록의 학명을 재분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to identify a correct species and asses genetic diversity within the same species of Trametes spp. preserved in Division of applied Microbiology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reserved strains were observed through microscope and investigated on PDA, respectively. Contaminated isolates showed different growth rates, morphology and color of hyphae. We have reconstructed the phylogenetic tree of a select group of Trametes spp. using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ITS) region.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by using the neighbor- joining method. PELF primers of 20-mer were used to assess genetic diversity of preserved isolates.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five strains were different species and six strains were identified completely different nomencla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S sequences, the genus Trametes clustered into four distinct group, most of which correlated with species-groups identified by RAPD method. Seven isolates included TM 01 strain showed high similarity with Trametes versicolr, TM 07 and TM 10 high similarity with Trametes gibbosa, and TM 05 high similarity with Trametes elegans. But isolates collected in the United States was identified as T. junipericola. T. gibbosa and T. versicolor by RAPD analysis of genetic polymorphisms showed a very different band patterns and these strains showed different band patterns on areas. As the result of RAPD and ITS region sequences analysis for preserved isolates, it seems likely that 11 isolates of Trametes spp. may be need to reclassify or eliminate from preserved catalogue.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공시균주 및 배양조건
  염색체 DNA 추출
  rDNA의 ITS 영역 증폭과 유연관계 분석
  RAPD에 의한 다형성 분석
 결과 및 고찰
 적요
 참고문헌
저자
  • 이찬중(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Chan-Jung Lee
  • 전창성(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전창성
  • 정종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정종천
  • 오진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오진아
  • 한혜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한혜수
  • 엄나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엄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