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ST-SSR 마커 적용을 통한 수박 F1 품종 순도 검정 KCI 등재

Application of EST-SSR Marker for Purity Test of Watermelon F1 Cultiv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1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ICuGI Database를 활용하여 수박 상용 F1 품종의 순도검정용 EST-SSR 마커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353개 EST-SSR primer set을 선발하여 (주)NH종묘의 수박 F1 품종 7종과 각 품
종의 양친 11종에 대해 검정하였다. 이중 1차 테스트한 96개 primer set 중, ‘오렌지’는 primer
WMU0056, ‘흑보’는 WMU0400, ‘신동’은 WMU0056와 WMU0400, ‘새로나’는 WMU0056,
WMU0400, WMU0529에 대해 각 품종의 양친들이 다형성이 보였고 F1 개체에서는 이형접합의 유전자형
을 보였다. ‘해동’ F1의 순도검정용 마커를 찾기 위해 추가적인 122개의 primer set에 대해 PCR을 수
행한 결과, WMU0056, WMU0400, WMU0580, WMU1211, WMU4136, WMU448이 순도검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WMU0056와 WMU0400이 ‘해동’에서도 유용할 수 있었다. ‘꿀나라’와 ‘황피’의
경우에는 공시된 타 품종들에 비해 양친간 다형성율이 각각 5%와 2%로 매우 낮아 모든 353개 primer
set을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 ‘꿀나라’는 WMU5339, ‘황피’는 WMU7003이 순도검정 마커로 적합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발된 마커를 이용하여 실제 농가채종된 4개의 F1 품종의 순도를 검정한 결과,
모두 97.5% 이상의 순도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ICuGI Database에 공시된 수박 EST-SSR 마커는 공
우성의 유전자 특이적 마커로서 F1 순도검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t of EST-SSR marker for the purity test of commercial F1 hybrid cultivars in the watermelon. A total of 353 EST-SSR were selected and tested on seven F1 cultivars and their 11 parental lines achieved from NH Seeds Inc., Korea. Among tested 96 primer sets, WMU0056 for 'Orange', WMU0400 for 'Heukbo', WMU0056 and WMU0400 for 'Sindong', and WMU0056 and WMU0400 for 'Serona' revealed polymorphisms between the parental lines and heterozygosity from these F1 cultivers. Of 122 primer sets tested for 'Haedong', WMU0056, WMU0400, WMU0580, WMU1211, WMU4136, and WMU448 showed polymorphisms that were appropriate for the F1 purity test. WMU0056 and WMU0400 can be useful for 'Haedong', as well. Relatively low polymorphisms between parental lines were detected for 'Kulnara'(5%) and 'Hwangpea'(2%), and therefore, all 353 primer sets were tested on these cultivars. As the result, WMU5339 and WMU7003 were found to be useful for the F1 purity test in 'Kulnara' and 'Hwangpea', respectively. Using these EST-SSR markers developed by ICuGI, hybridity of the seeds for four F1 cultivars produced from farmers was evaluated, and levels of the F1 purity higher than 97.5% was observed from all seed population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termelon EST-SSR marker information posted in ICuGI could be utilized for developing codomiant and locus-specific markers that are highly effective for the F1 purity test.

저자
  • 최영미(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ung-Mi Choi
  • 황지현(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Ji-Hyun Hwang
  • 김광환(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Kwang-Whan Kim
  • 이용재(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ng-Jae Lee
  • 강점순(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Jeom-Sun Kang
  • 최영환(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ung-Hwan Choi
  • 손병구(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Beung-gu Son
  • 박영훈(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ung-Hoon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