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리카-지르코니아 분리막 성능에 대한 다공성 지지체와 중간층의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Porous Support and Intermediate Layer on the Silica-zirconia Membranes for Gas Permeation Perform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71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공의 크기가 큰 다공성 지지체를 3~4 μm, 150 nm의 크기를 갖는 α-알루미나 입자를 물과 실 리카-지르코니아 용액에 각각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표면 개질을 하였다. 3~4 μm 크기의 알루미나 입자가 분산된 용액을 이 용하여 금속 지지체 및 알루미나 지지체에 코팅하였을 때, 코팅횟수가 증가할수록 지지체의 표면의 큰 기공이 감소하였고, 여 기에 150 nm 크기의 알루미나 입자가 분산된 용액으로 추가 코팅을 하면 작은 크기의 알루미나 입자가 기공 사이사이에 들 어가면서 지지체를 좀 더 매끄럽게 개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리카-지르코니아 용액을 분산매로 하여 표면 개질을 한 경우, 알루미나 입자가 실리카-지르코니아 층에 촘촘하게 박힌 모양으로 고정이 되어 지지체 개질에 효과적 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실리카-지르코니아 분리막의 기체투과도는 상온에서 각각 1.8 - 8.4 × 10-4 mol⋅m-2 ⋅s-1⋅Pa-1, 3.3 - 5.0 × 10-5 mol⋅m-2⋅s-1⋅Pa-1이며 수소/질소 선택도는 Knudsen 분포를 보였다. 표면 개질된 지지체에 다양 한 분리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무기 분리막 응용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n this study, porous metal (O.D. = 10 mm, length = 10 mm, 316 L SUS, Mott Corp.) and α-alumina tube (O.D. = 10 mm, length = 50 mm, Pall, German) support was modified with suspension sols, which were consisted of 3~4 μm and 150 nm size of α-alumina particle in the water or silica-zirconia colloidal sol. The porous support was fabricated by dip coating method for 5 seconds with suspension of alumina particles. After drying at 100°C for 1 h, it was calcined at 550°C for 30 min. It was repeated several times in order to decrease big pore on support. The surface roughness and largest pore size on the porous support was decreased by increasing coating times with 3~4 μm size of α-alumina particle and alumina coating with 150 nm size of α-alumina particle served as further smoothening the surface and decreasing the pore size of the substrate. And the silica-zirconia membranes were successfully prepared on the modified porous metal and α-alumina supports, and showed hydrogen permeance in the range of 1.8 - 8.4 × 10-4 mol⋅m-2⋅s-1⋅Pa-1 and 3.3 - 5.0 × 10-5 mol⋅m-2⋅ s-1⋅Pa-1, respectively.

저자
  • 이혜련(한국화학연구원, 그린정밀화학연구센터) | Hye Ryeon Lee
  • 서봉국(한국화학연구원, 그린정밀화학연구센터) | Bongkuk Se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