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남지역 야계사방사업지의 산림환경특성 분석 - 사방댐 및 계류보전사업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alysi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Torrent Erosion control work area in Gyeongsangnam-do - Focus on Erosion Control Dam and Stream Conservati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2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경남지역 야계사방사업지의 적지적소를 판정하기 위해 사방댐 총 526개소와 계류보전시설 총 230개소의 기시공지 및 시공예정지를 대상으로 입지 및 임상, 수문조건을 분석하였다. 사방댐 시공 지과 계류보전시설은 입지환경인자 중 퇴적암, 표고 201∼400m, 경사 21∼30°, 산사태위험등급 2등급 인 곳에 가장 많이 시공되었고, 임상환경인자인 임상, 경급, 영급, 밀도 중 소경급, Ⅲ영급 임분에서만 시공빈도가 유사하였다. 또한 사방댐의 크기 및 개소수를 결정하는 수문환경인자 중 유역면적의 경우 50ha 이하, 수계밀도 2.1∼4.0km/km2, 종장형 수계, 1시간당 최대강수량 61∼90mm, 1일 최대강수량 201∼300mm인 곳에서 가장 많이 시공되었다. 따라서 사방댐 시공지와 계류보전시설지 간의 입지 및 수문조건이 다소 유사한 것으로 추후 야계사방사업을 실시할 경우 산각붕괴 및 침식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에 한해서는 사방댐과 계류보전시설의 병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electing the right timing and the right place of erosion control of stream on Gyeongsangnam-do.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526 erosion control dams and 230 mountains stream conservation facilities on the constructed places and construction planned places for the erosion control were investigated on site, forest physiognomy, and hydrologic conditions. The erosion control dams and mountain stream conservation facilities were mostly constructed in the area, which has the sedimentary rock, 200-400m of altitude, a slope of 21∼30°, and Ⅱ of landslide hazard map. Among the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it was only similar to the construction frequency in the areas that have small diameter class, Ⅲ age class. Also, we investigated the hydrologic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size and numbers of erosion control dam. The places constructed to the highest frequency were below 50ha in the area, 2.1∼4.0km/km2 of drainage density, longitudinal water system, 61∼90mm of maximum precipitation per hour, and 201∼300mm of day maximum precipitation. As the results, the sites and floodgate conditions between the constructed places and stream conservation facilities for the erosion control showed to be very similar.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rosion control of the stream of the areas, which have the disruption of mountain peaks and the high erosion risk areas, should be used on both the erosion control dam and stream conservation facilities.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야계사방사업지의 지역 및 형태
  2 야계사방사업지의 입지환경특성
  3 야계사방사업지의 임상환경특성
  4 야계사방사업지의 수문환경특성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강민정(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Min-Jeng Kang
  • 김기대(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Ki-Dae Kim
  • 오강산(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Kang-San Oh
  • 박진원(사방협회 경남지부) | Jin-Won Park
  • 박재현(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Jae-Hyeon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