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계 고분자 음이온교환막 계면동전위 특성평가 KCI 등재

Electrokinetics Evaluation of 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49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계면동전위라 불리는 제타전위(zeta potential)란 표면 전하적 특성을 정량화 한 값으로 전기동역학적 현상으로 발 생하는 전위차를 말한다. 제타전위는 막오염(fouling)과 표면전하 분석을 통한 개질 확인 및 치환기 확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 히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제타전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전기영동(electrophoresis), 전기삼투(eletrosmosis), 유동전위 (streaming potential)를 기초로 개발되었고, 그중에서도 평막은 유동전위 측정이 적합하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고분자에 암모늄을 도입하여 아민화된 SEBS 평막 형택의 분리막을 제조하고, 계면동 전위 측정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분리막들의 유동전위를 측정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The zeta potential, called an electrokinetic potential, refers to the potential difference caused by electrodynamic phenomenon,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quantifying the surface charge property. The zeta potential has been actively studied for membrane fouling, confirmation of modification and substituent confirmation through surface charge analysis. The methods of measurement for zeta potential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electrophoresis, electrosmosis and streaming potential. Among them, it was known that the streaming potential method was suitable for the flat sheet membrane. So, in this study, aminated 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membranes were prepared by introducing ammonium groups and the streaming potentials of the prepared membranes were measured by using an electrokinetic potential analyzer (SurPAS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저자
  • 손태양(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Tae Yang Son
  • 윤준성(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Jun Seong Yun
  • 한송이(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Song I Han
  • 남상용(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Sang Yong Na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