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거울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the Hand Function Recove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6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4주간의 거울치료가 운동 기능과 손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 : 경기도 소재 OO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만성 뇌졸중 환자 총 14명을 대상으로 2010년 1월부터 동년 2월 28일까지 무작위로 실험군(6명)과 대조군(8명)을 선정하여 실험진행 하였다. 거울치료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주 5 회, 회기당 30분씩 손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실험군은 거울을 통한 시각적 피드백이 제공된 반면, 대조군은 시각적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았다. 대상자의 실험 전-후 기능회복 정도는 Brunnstrom 운동회복 단계 (Brunnstrom recovery stages), 뇌졸중 상지기능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 점수를 활용하였다. 결과 : 4주간의 거울치료 후 실험군의 MFT 점수 비교에서 실험군의 상지 앞 올리기, 쥐기, 입방체 옮기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조군의 경우 집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거울치료를 적용한 결과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더 많은 영역에서 유의한 손기능 회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한 거울치료 프로그램의 손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으며, 포괄적 재활치료의 효과를 배제한 추후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4-week mirror therapy on the hand function recove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4 subjects staying in the OO rehabilitation hospital in Geunggido from Jan, 2010 to Feb 28th, 2010. The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divided into experimental (6) and control groups (8). The hand excercise program was provided to subjects of both groups for 30 minutes a session, 5 sessions per week. Visual feedback was provided to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to the control group. The Brunnstrom recovery stages and Manual Function Test (MFT) were used to evaluate the hand function recovery pre- and post-experiment. Results : The MF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intervention. These difference were found in the subjects' shoulder flexions, and in their ability to grasp a ball and carry a cube. Also based on the MFT,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to pinch a pin. Conclusion : The chronical stroke patients group used in the mirror therapy showed better recovery in hand functionality than the group without undergoing mirror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clinical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the hand function recove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기간 및 대상
  2. 실험방법 및 절차
  3. 측정도구
  4.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집단 내 실험 전, 후 비교
  3. 집단 간 실험 전, 후 변화량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우희순 | Woo Hee-Soon
  • 장기연 | Chang Ki-Yeon
  • 박우권 | Park Woo-Kw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