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 평가 -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CPAD)을 이용하여 - KCI 등재

Assessment for Driving of People With Brain Injury -Application of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CPA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7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컴퓨터에 기초한 인지·지각 검사 도구인 CPAD를 이용하여 뇌손상 환자에서 합격군과 경계선군, 불합격군의 특성을 알아보고 안전 운전을 위해 필요한 기준을 제시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립재활원 장애인 운전 평가 클리닉에 의뢰된 뇌병변 환자 187명을 대상으로 하여 운전경력 및 사고경험, 기저질환 유무, 시야 검사, 편무시, 신체 검진상 건측 및 환측에 있어서 근력, 구축, 경직, 뇌졸중 운동회복단계(brunnstrom stage), 감각 및 균형유지 능력과 자립 보행 가능과 보조기 사용 여부를 포함한 계단 오르내리기 시행가능 유무 및 CPAD를 이용한 인지·지각검사가 시행되었고 결측값을 제외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187명의 참가자 중에서 65명(34.8%)은 CPAD에서 통과하였고 41명(21.9%)은 실패하였으며 5명(2.7%) 은 경계선이었다. CPAD를 이용하여 뇌손상 환자에서 인지기능 관련 검사 결과 34.8%의 합격률을 보였고 나이가 어리고 뇌줄중 운동회복단계(brunnstrom stage)의 점수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합격률이 높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CPAD를 이용한 뇌손상 장애인의 인지·지각능력은 운전 가능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지만 안전한 운전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더 많은 평가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CPAD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 is a computer-based evaluation tool developed to test cognitive-perceptual skills necessary for driv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injury using CPAD and analyze associated factors. Methods : 187 brain damaged persons who were referred for driver evaluation underwent clinical evaluation including CPA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182 out of the 187 whose CPAD test was finished. Results : Among 187 participants, 34.8% passed CPAD test, 21.9% failed, 40.6% got borderline score, and 2.7% could not finish the test. Failed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ly older in age than either borderline or passed participants. Those who had poor motor recovery showed significantly lower pass rate(22.1%) and higher fail rate(28.4%) than those with better motor recovery (pass 50.7%, fail 11.3%). Conclusion : Driver evaluation using CPAD could determine whether brain damaged persons’cognitiveperceptual skill is sufficient for driving or not. However, there needed further evaluation and research which could find out safe driving abili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임문희 | Lim Mun-He
  • 박시운 | Park Si-Woon
  • 최은석 | Choi Eun-S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