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휴대전화를 이용한 원격재활(Telerehabilitation)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Telerehabilitation Using Mobile Phone on Motor Function Recove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7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만성뇌졸중 환자에게 휴대전화를 이용한 원격재활이 상지운동기능, 균형감각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 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병 2년 이상 경과된 만성뇌졸중 환자 20명을 무작위 할당을 통해 실험군(10명)과 대조군(10명)으로 구분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자가운동프로그램을 주 5회, 총 8주간 실시하였다. 자가운동프로그램과 함께 실험 군에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원격재활 중재를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일일점검표를 제공하였 다. 중재 전·후 대상군들의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Fugl-Meyer 평가 척도, 버그균형검사,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운동 활동지표, 수정된 바델지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 휴대전화를 이용한 원격재활 중재가 제공된 실험군은 상지기능, 균형감각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서 유의하 게 향상된 반면(p<.05),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못했다(p>.05). 또한 중재 전·후의 변화량, 수행도와 만 족도 모두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원격재활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균형감각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효과적 임을 지지하며, 국내 임상적 상황에서 원격재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elerehabilitation on the upper-limb motor functions and equilibrioception (sense of balance) by providing mobile phones to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20 chronic stroke patients. Th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self-exercise program at home 5 times per week for 8 weeks. Intervention through the use of a mobile phone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daily self-check list was completed by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functional recovery pre- and post-intervention was measured through FMA: An upper-limb function subtest, BBS, Box & block, MAL, and MBI. Results : As a result of providing telerehabilitation using mobile phon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upper-limb functionality, equilibrio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05). The result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elerehabilitation on the functional recovery of chronic stroke patients by showing an improved performance of upper-limb functionality, equilibrio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refore, the results may be applied to the use of telerehabilitation in a clinical setting.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기간 및 대상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연구 도구
  4. 측정 도구
  5.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집단별 중재 전·후 분석
  2. 집단 간 중재 전·후 분석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한승협 | Han Seung-Hyup
  • 김동인 | Kim Dong-In
  • 김진희 | Kim Jin-Hui
  • 박아름 | Park A-Rum
  • 박충환 | Park Chung-Hwan
  • 이보민 | Lee Bo-Min
  • 이재원 | Lee Jae-Won
  • 감경윤 | Kam Kyung-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