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육대학원생의 자기주도성 및 자기효능감이 경력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Gra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Self-Initiative and Self-Efficacy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9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사교육연구 (The Journal of Private Tutoring Research)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The Korea Association of Private Tutoring Study)
초록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생이 지각하는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경력개발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주도성이 자기효능감에, 자기주도성과 자기효능감이 경력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3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성(평균 4.1)과 경력개발역 량(평균 3.89)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고, 자기효능감(평균 3.66)은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성의 하위요인으로부터 전반적으로 영향을 받고, 자기주도성의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은 학업적 효능감, 사회적 효능 감, 자기조절 효능감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개발역량은 자기주도성의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의 사회적 효능감, 자기조절 효능감으로부터 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원생의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경력개발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ward self-initiative,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o further analyze the factors, based on those findings, that self-initiative had effects on self-efficacy and self-initiative and self-efficacy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o achieve thes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395 students and graduat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using SPSS 26.0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initiative mean 4.1)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mean 3.89) were above average, and self-efficacy(mean 3.66) stayed at the average level. Second, self-efficacy was generally influenced by the sub-factors of self-initiative, and the self-concept of being an efficient learner with self-initiativ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efficacy, social efficacy, and self-regulation efficacy. Thir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was positive(+) influenced by love and passion for learning, self-concept as an efficient learner, social efficacy, and self-regulation effica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paper had suggested measures to increase self-initiative, self-efficacy,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자기주도성
    2. 자기효능감
    3. 경력개발역량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교육대학원생이 지각하는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경력개발역량에 대한 인식
    2. 측정변인 간의 상관관계
    3. 자기주도성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자기주도성 및 자기효능감이 경력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Abstract >
저자
  • 송기자(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생) | Song Gija (Kwangwoon University)
  • 김성길(광운대학교 교수) | Kim Seong-gil (Kwangwo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