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I report that in vitro development rates of bovine nuclear transfer embryos activated either with boar sperm cytosolic factor (SCF) or with ionomycin followed by cycloheximide (CHX) and subsequent in vivo developmental rates after embryo transfer are related to blastocyst quality as evaluated by apoptosis analysis. SCF was extracted from porcine semen then purified for post-activation injection after nuclear transfer. The optimal timing for SCF injection was determined to be at least 22 h post-IVM for parthenogenetic activation of bovine oocyies. A total of 364 oocytes were successfully enucleated and 268 (73.6%) fused and were injected with SCF. The survival rate of fused and injected embryos was 109/113 (96.5%) after 2 h. The cleavage rates of nuclear transfer embryos after 3 d of culture in the ionomycin/CHX 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CF-activated group (93.3% vs 81.7%, p<0.01, respectively). However, at 7 d and 9 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developmental rates to blastocyst for either treatment group. Total blastocyst cell numbers were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activation treatments (ionomycin/CHX: 149.57.7 vs. SCF: 139.34.4 cells). In contrast, the apoptotic levels in the SCF blastocysts were higher than those produced after the chemical treatment (28.25.1% vs. 8.80.6%, respectively). A total of 18 expanded or hatching blastocysts was transferred to nine synchronized recipients in each activation group; 5/9 (55.5%) and 2/9 (22.2%) were pregnant at 40 d in the ionomycin/CHX treatment and SCF activated group, respectively. However, only one went to term in the ionomycin/CHX treatment while none of the pregnancies from the SCF group were maintained by 90 d.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F derived from different species is a limited activator to be used for activation after bovine nuclear transfer in lieu of a chemical activation protocol.
        4,000원
        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木溪 姜渾(1464-1519)은 중종반정에 참여한 靖國功臣으로, 홍문관 대제학 과 이조ㆍ공조ㆍ형조 판사를 두루 거쳐 판중추부사에 이르렀다. 특히 그의 시 는 晩唐의 체를 얻어 당대 최고의 시인으로 일컬어졌으며, 그는 뛰어난 문장과 인품으로 뭇 선비들은 물론 성종에게도 촉망받던 인재였다. 그러나 연산조 말 승지로 있으면서 응제시로 아부하여 부귀를 탐한 간사한 인물이라는 오명을 얻 었고, 이로 인해 사림에게 배척 받은 것은 물론 그의 문집도 제대로 간행되지 못하였으니, 그의 저술은 백에 하나도 남아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나 여러 증언과 정황을 고려해 볼 때, 강혼이 연산군 밑에서 벼슬하고 글 을 지은 것은 어쩔 수 없었던 일이었으며, 그에 대한 비난도 매우 편향적이고 부당한 면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강혼의 생애와 사상 및 그의 문학은 재평가 되어야 할 것이다. 강혼은 훈구에 속하는 명문가에서 태어났지만, 김종직을 스승으로 섬기고 그 제자들과 두루 사귀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듯 그 당시 훈구와 사림이 첨예하 게 대립한 昭陵復位論과 薦擧別試制(賢良科)를 통해 볼 때, 강혼의 정치적 입지 木溪 姜渾(1464-1519)은 중종반정에 참여한 靖國功臣으로, 홍문관 대제학 과 이조ㆍ공조ㆍ형조 판사를 두루 거쳐 판중추부사에 이르렀다. 특히 그의 시 는 晩唐의 체를 얻어 당대 최고의 시인으로 일컬어졌으며, 그는 뛰어난 문장과 인품으로 뭇 선비들은 물론 성종에게도 촉망받던 인재였다. 그러나 연산조 말 승지로 있으면서 응제시로 아부하여 부귀를 탐한 간사한 인물이라는 오명을 얻 었고, 이로 인해 사림에게 배척 받은 것은 물론 그의 문집도 제대로 간행되지 못하였으니, 그의 저술은 백에 하나도 남아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나 여러 증언과 정황을 고려해 볼 때, 강혼이 연산군 밑에서 벼슬하고 글 을 지은 것은 어쩔 수 없었던 일이었으며, 그에 대한 비난도 매우 편향적이고 부당한 면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강혼의 생애와 사상 및 그의 문학은 재평가 되어야 할 것이다. 강혼은 훈구에 속하는 명문가에서 태어났지만, 김종직을 스승으로 섬기고 그 제자들과 두루 사귀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듯 그 당시 훈구와 사림이 첨예하 게 대립한 昭陵復位論과 薦擧別試制(賢良科)를 통해 볼 때, 강혼의 정치적 입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