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팽이버섯 생육습도에 따른 균주별 자실체의 특성 변화 KCI 등재

The change on characterizations of fruiting body according to the growing humidity in Flammulina velutip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3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팽이버섯의 자실체 특성이 재배사 환경인자중 습도변화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조사하기위해 농촌진흥청 버섯과에 보존된 8개 균주에 대해 형태적 특징, 경도, 색깔 등을 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징에서 백색계통 버섯의 대길이는 습도 낮아지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갈색계통은 균주에 따라 각기 다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습도가 절대적인 지배요인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갓직경은 습도와 상관관계가 없으며, 대굵기 및 갓두께는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품종에 있어서는 대길이가 가장 긴 품종은 ASI 4051, ASI 4031 이고, 짧은 품종은 ASI 4103 이며, 갓직경은 ASI 4103 가장 크고, 갓두께는 ASI 4103이 가장 두꺼우며, 가장 얇은 것은 ASI 4065이고, 대굵기는 ASI 4103이 가장 굵으며, ASI 4153이 가장 가늘었다 백색계통은 습도가 낮아지면 ASI 4021를 제외한 균주는 L값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ASI 4021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갓과 대가 명도(L)값은 감소된다. 그러나 채도(a, b) 값은 습도처리에 따른 차이가 작아 어떤 평가를 내리기가 곤란하였다. 갈색계통은 습이 낮아지면 명도 L 이 증가하는 경향이며, 채도(a, b) 값은 습도에 따른 차이가 크기 않아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곤란하지만, 갓의 a 값은 습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갓의 b값은 a 값과는 다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품종별 특성을 보면 대부분 대보다 갓 색이 밝은 색을 보인다. 습도 조건에 따른 경도의 차이는 어떤 일정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갓보다 대의 경도가 높으며, 품종에 따라 각기 다른 정도를 나타낸다. 가장 높은 경도를 보이는 것은 ASI 4021 이며, 가장 약하게 나타난 것은 ASI 4166 품종이었다. 계통 간에는 갈색 보다 백색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습도조건 보다는 품종 및 계통에 따른 차이가 확실히 보이고 있다.

We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traits, hardness and color of fruting bodies on eight strains according to changes of the humidities in mushroom house in Flammulina velutipes. The morphological traits like length and thickness of stipe, diameter and thickness of pilei didn't show any relations to humidity. Variation of these traits were rather showed by strains. ASI 4065 and ASI 4031 produced the longest stipes and ASI 4103 did the shortest ones. Fruiting body of ASI 4103 showed the most thickness of stipe, diameter and thickness of pilei. The pilei of ASI 4065, ASI 4021 and the stipe of ASI 4153 was the thinest. Brightness (L) values of white strains were increased at the low humidity except ASI 4021. But chroma (a, b) value showed little variation according to the humidity. L value of brown strains usually increased at the low humidity and a chroma (a, b) value showed little variation according to the humidity. But the chroma (a) value of pilei increased and the chroma (b) value of pilei decreased at the hight humidity. Most strains were brighter at pilei than at stipes. Hardness were not any relations to the humidity. In general, hardness of stipes were higher than that of pilei and their degre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trains. Hardness of ASI 4021 was the highest and ASI 4166 was the lowest. White strains were higher than brown strains at the hardness. As a result, hardness was rather affected by strains than by humidity.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참고문헌
저자
  • 윤형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윤형식
  • 공원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공원식
  • 이찬중(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이찬중
  • 정종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정종천
  • 유영복(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유영복
  • 전창성(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Chang-Sung Jhune